차량주행 시, 차량발전기에서 생산하는 전기를 일정부분 배터리로 충전하는 방식인
주행충전기는 전력이 모자란 캠핑카에 중요한 충전수단 중 하나입니다.
그렇다보니 예전에는 고용량 주행충전기를 장착하여 충전량을 키우거나
단방향이 아닌 양방향 제품을 설치하여 점프도 가능한 제품을 선택했습니다.
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차량에 문제가 생기거나, 설치한지 얼마 안 된 시점부터 자꾸 차량방전이 일어나는 등
몇몇 심각한 문제가 생기곤 합니다.
이번 글에서는 주행충전기의 이러한 문제는 왜 발생하는지, 어떤 제품을 선택해야 하는지
써보도록 하겠습니다.
주행충전기의 충전량 선택, 방전과 차량고장의 원인은?
주행충전기는 다양한 충전량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
이 때, 높은 용량의 제품을 선택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차나 캠핑카 배터리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우선 차량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방전과 발전기고장이겠네요.
차량의 발전기는 디젤 엔진 차량의 용량은 65~75A 이고, 가솔린 차량의 경우는 85~110A 정도 발전가능 하다고 합니다.
물론 차량과 연식마다 이 용량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
이는 차량의 순정상태에서 사용되는 갖가지 시동 및 전기제품에 관해 설계 된 용량이지 캠핑카 배터리까지 감안한 용량은 아니죠.
주행충전기는 여기서 본디 차량배터리로만 가야할 전력을 나누어 캠핑카 배터리로 집어 넣는 것입니다.
이 때, 생산량보다 더 많은 양의 전력이 캠핑카 배터리로 가게 된다면
당연히 차량배터리에 갈 전력이 줄어드니 방전이 쉽고, 자주 일어날 수 밖에 없습니다.
또한 발전기는 항시 저 정도의 전력을 계속 생산하는게 아닙니다, 차량이 순정상태일 때
그 만큼 지속적으로 생산할 일이 잘 없으니까요.
하지만 캠핑카 배터리에 전력이 없다면 지속적으로 전력을 생산해야하는데 이는 발전기의 수명과 고장에 영향을 끼칩니다.
주행충전기를 교체한지 얼마 되지않아 방전이 자주 일어난다면 주행충전기가 과용량인지 의심해볼만 합니다.
해소방법으로는 발전용량의 2~30% 정도로 용량의 주행충전기를 선택하시거나
ACC선에 스위치를 달고 배터리 볼트게이지(차량, 캠핑카배터리 둘 다 확인 할 수 있으면 좋습니다.)를 설치하여
도착지점에 다 와가거나 배터리 상태에 따라 주행충전을 차단하는 식으로 조절하실 수 있습니다.
마지막으로 차량 배터리를 인산철배터리로 바꾸셔도 좋습니다.
요즘 나오는 인산철 차량배터리는 2~30%정도 시동전력을 보존하기에 방전에 관해서는 해소됩니다.
하지만 발전기에 부하는 막지 않으니 주의하세요.
양방향? 단방향? 차량방전의 원인 중 하나
일반적으로 주행충전기는 차량ACC에서 신호(시동)를 주면 주행충전기가 작동하는 방식입니다.
여기에 양방향과 단방향이 있는데, 양방향이란 차량배터리, 캠핑카배터리 양쪽으로 전력이 충전될 수 있는 방식입니다.
단방향은 차량배터리에서 캠핑카배터리로만 움질이 수 있죠.
* 추가적으로 ACC기능에 on/off 가 있는데 이건 양방향이 아니라 acc기능을 끄고 켤 수 있는 기능입니다.
시동을 안 걸더라도 충전이 가능하게끔 하는 장치인데 양방향으로 착각하실 수 있으니 제품정보를 잘 보시기 바랍니다.
양방향은 양쪽 배터리로 다 움직일 수 있다보니 차량이 방전되었을 때, 점프선 필요없이 바로 점프가 가능합니다.
문제는 깜빡하고 이 양방향을 계속 열어두면 발생합니다.
점프만 하고 바로 꺼야하는데, 계속 전력이 통하다보니 양방향을 열어논 상태로 장기간 세워두거나
주행충전기가 고장나 양방향이 열려버리면 차량에 방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'제작 관리 Ti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캠핑카 어닝, 사용을 자제해야하는 때 (0) | 2025.04.18 |
---|---|
캠핑카 태양광이 이상하다면, 간단하게 진단하는 방법 (0) | 2025.04.04 |
차박, 앉은키를 고려할 것 (0) | 2025.04.02 |
캠핑카 배터리 폭발, 대비책은 어떻게? (0) | 2025.03.31 |
캠핑카 청/오수통, 왜 자꾸 물이 안들어갈까? (0) | 2025.03.24 |